STUDY

[한국사]임진왜란 전개 과정, 충무공 이순신 알아보기

이모저모 세상이야기 2022. 8. 4. 23:14

우리나라의 영웅 중 한 명인 이순신 장군은 일본과의 전쟁에서 큰 승리를 이끈 영웅이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어떤 인물이며, 1592년부터 1598년 노량대첩에서 이순신 전사까지 임진왜란의 전개과정을 알아보고자 한다.

충무공 이순신


- 조선시대 장군이며, 임진왜란에서 삼도수군통제사로 수군을 이끌고 왜군을 격파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 본관은 덕수(德水)이고, 자는 여해(汝該), 시호는 충무(忠武)이다.

이순신이 태어날 때 쯤 이순신 가문은 할아버지 이백록이 조광조 등 사림들과 뜻을 같이하다가 기묘사화의 참화를 당하고 아버지도 관직에 뜻을 두지 않아 가세가 많이 기울어져 있었다.

그러나 이순신은  충효와 문학에 뛰어났으며, 정의감과 용맹함을 겸비하면서도 인자한 성품을 지녔다고 전해온다. 선조 9년 1576년 무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권지훈련원봉사로 처음 관직에 나갔다. 

 

통영 충렬사, 여수 충민사, 아산 현충사등에 배향되었다. 묘는 충남 아산에 있다. 

매년 이순신 장군 탄신일인 4월 28일을 전후로 열리는 아산의 대표 '아산 성웅 이순신축제'가 열린다. 이순신 장군을 테마로 공연, 프로그램 등 각종 문화행사가 열린다. 



임진왜란 발발 배경 


조건 건국 이래로 평화가 지속되어왔기 때문에 국방력 약화를 초래했다. 서인과 동인을 통신사로 파견하여 일본이 전쟁을 일으킬 것을 인지했으나, 붕당 정치의 지배층 간 의견 차이로 인해 전쟁준비를 하지 못 한다. 

*동인 김성일은 왜침이 없을 것이라 주장

*서인 황윤길은 왜침이 있을것이라 주장 

 

  반면 일본에서는 100년넘게 이어져오던 전국시대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해 통일되었고  군사력이 최고조였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우리나라를 거쳐 중국까지 진출할 계획을 세웠고 정명가도(명을 치러가는데 길을 빌려달라)는 구실로 조선 침략을 하게 된다.

 

임진왜란 주요 해전


 

임진왜란 전개 과정

1592년

  1. 부산진성, 동래성 함락  -> 임진왜란 발발 
  2. 충주 탄금대 전투 패배 (삼도순변사 신립)
  3. 선조 의주로 피난 후 명에 원군 요청, 한양 함락
  4. 포 해전 : 전라 수군절도사 이순신이 원균, 이억기 등과 함께 거제도 바다에서 첫 승리  
  5. 천포 해전(거북선 사용) -> 포 해전 -> 항포 해전
  6.  광해군 분조 발족,  평양성 함락
  7. 산도 대첩 : 학익진으로 왜군을 대파함
  8. 1차 진주 대첩 승리 : 김시민 전사, 곽재우 장군

1593년 조. 명 연합작전

  1. 평양성 탈환 (명군 이여송과 조선군 유성룡)
  2. 파주 벽제관 전투 패배 -> 이여송 평양으로 후퇴 
  3. 행주 대첩 승리 : 전라도 순찰사 권율 
  4. 2차 진주성 전투

-> 휴전 협상 (강화 회담) 시작  ~ 

훈련도감 설치 , 속오군 체제로 전환 

 

1597년 

  1. 정유재란 (휴전 협상 결렬)
  2. 칠천량 전투 패배(원균)
  3. 직산 전투 
  4. 명량 해전 (이순신 배 12척으로 울돌목에서 왜군을 대파함)

1598년

  1.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망
  2. 노량 대첩 : 이순신 전사 -> 종전 

임진왜란의 결과 

 

- 조선의 많은 문화재가 소실되고 약탈당하였으며 토지가 황폐화되었다. 

- 국가 재정난을 해결하기 위해 납속책과 공명첩을 발행하여 신분제가 동요되었다. 

- 명의 대규모 군사 파견으로 인해 국력이 약화되어 후금에게 위협을 받았다. 

- 일본은 도요토미 정권이 무너지고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권력을 잡아 에도 막부가 성립되었다. 

- 조선에서 잡혀간 학자, 도자기 기술자들로 인해 일본 문화가 발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