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증여세 뜻, 의미/결혼 자금 증여세 공제한도 확대하나?

by 이모저모 세상이야기 2023. 7. 7.

증여세는 사람이 이웃이나 가족들에게 재산을 증여(즉, 무상으로 양도)할 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이는 재산의 이전 행위에 관련된 세금으로, 상속세와 비슷한 특성을 갖습니다. 증여세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결혼할 때 가장 큰 골칫거리가 주택문제입니다. 집값이 너무 비싸니 부모님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는데 현행 5,000만 원 증여공제에서 한도를 확대하는 검토가 진행 중이라고 합니다. 

 

 

 

 


 

 

증여자의 부담: 증여세는 보통 증여자, 즉 재산을 무상으로 양도하는 사람이 부담해야 합니다. 따라서 본인이 아닌 타인에게 재산을 전달한다면 이에 따른 세금 부담을 고려해야 합니다.

증여한 재산의 가치에 따른 세율: 증여세는 증여한 재산의 가치에 따라 세율이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재산 가치가 높을수록 증여세율도 높아집니다.

면세 한도 및 위탁 증여: 각 나라 및 지역마다 증여세 면제 한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일정 금액 이하의 증여는 세금을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위탁 증여를 통해 증여한 재산에 대한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법도 있습니다.

증여 목적에 따른 세금 감면: 일부 경우에는 증여 목적에 따라 세금 감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교육이나 의료, 미술 등의 공익을 위한 헌납 재산에 대해서는 감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승계방지 조치: 재산의 승계나 연속으로 이루어지는 증여의 경우, 해당 사유에 따라 증여세 부과 기준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는 재산의 과다한 집중을 방지하고 상속세와 증여세 과세 표준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현행 규정

- 10년간 5,000만원 까지 증여세 공제 

 

개선 방향

 

결혼자금에 한해 증여세 공제한도 확대 검토 

 

올해 초 결혼정보회사가 발표한 평균 결혼비용은 약 3억 3천만 원이라고 합니다. 

정부가 혼인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결혼 자금 지원에 대해서 증여세 공제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했습니다만

부모의 지원이 확대되면 결혼하는 젋은세대가 늘어날 것인지 의문입니다. 

오히려 부자감세라는 시선이 있기 때문에 부모지원을 받지 못하는 예비부부들에게는 해당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단순히 금수저 대물림이라는 반응도 있습니다. 

 

과연 정부가 공제한도를 얼마도 할 것인지, 부모 지원이 없는 신혼부부들에게는 어떤 재정 지원을 해줄 것인지 향후에 더 알아볼까 합니다. 

댓글